심근경색은 심장으로 가는 혈관이 막혀 심장 근육이 괴사 되는 치명적인 질환입니다. 증상이 나타난 후 몇 시간 안에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골든타임 내 조기 발견과 대응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심근경색의 정의, 주요 증상, 자가진단법, 진단 기준, 검사 항목과 예방 관리법까지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해 드릴게요.
심근경색이란?
심근경색은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갑자기 막혀 심장근육이 죽는(괴사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협심증과 달리 휴식으로도 통증이 완화되지 않으며, 치명적인 심장마비로 이어질 수 있어 즉시 응급조치가 필요합니다.
심근경색 주요 증상
- 가슴 중앙이 조이거나 찌르는 듯한 통증 (10분 이상 지속)
- 왼쪽 팔, 어깨, 목, 턱으로 통증이 퍼짐
- 식은땀, 메스꺼움, 숨참, 현기증 동반
- 소화불량처럼 느껴지는 명치 불편감
- 여성, 당뇨환자는 비전형적 증상(피로감, 호흡곤란 등)이 많음
자가진단법
아래 항목 중 2개 이상 해당되면 바로 병원에 가는 것이 좋습니다:
- 가슴이 답답하고 조이는 느낌이 10분 이상 지속
- 팔이나 턱, 등으로 통증이 번짐
- 식은땀이 나고 숨쉬기 힘듦
- 쉬어도 증상이 가라앉지 않음
- 기존에 협심증 진단을 받은 적 있음
단계별 진단 기준
진단 기준 | 설명 |
---|---|
심전도(ECG) | ST 분절 상승/하강, 비정상적인 Q파 확인 |
심근효소 검사 | 트로포닌, CK-MB 수치 상승 여부로 심장 손상 진단 |
심장초음파 | 심장의 수축 기능, 벽운동 이상 확인 |
관상동맥조영술 | 혈관 막힌 부위를 조영제를 통해 확인 |
건강검진 항목 및 이상 소견
- 심전도(ECG): ST 분절 상승(STEMI) 또는 하강(NSTEMI), Q파 출현 등 이상 신호
- 트로포닌 I/T: 정상은 0.04 ng/mL 이하, 0.4 이상이면 심근 손상 강력 의심
- CK-MB: 5~25 IU/L 이상이면 심장 손상 가능성
- LDL 콜레스테롤: 130mg/dL 이상이면 죽상동맥경화 위험 증가
- HDL 콜레스테롤: 40mg/dL 이하이면 심혈관질환 위험 증가
- 공복혈당: 126mg/dL 이상이면 당뇨 동반 가능성 높음
- 고혈압: 140/90mmHg 이상이면 동맥경화 및 심장 부담 유발
예방 및 관리 방법
- 흡연은 반드시 중단: 니코틴은 혈관을 수축시켜 혈전 형성 위험 증가
- 규칙적인 운동: 빠르게 걷기, 수영, 자전거 등 주 3~5회, 30분 이상
- 저염식, 저지방 식단 유지: 포화지방 대신 불포화지방, 식이섬유 섭취
- 고혈압·고지혈증·당뇨 적극 관리: 정기적인 약 복용과 검진 필요
- 체중 관리: 복부 비만은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임
- 스트레스 관리: 심장 리듬에 직접적 영향. 이완요법, 명상, 수면 충분히
자주 묻는 질문 (FAQ)
Q. 심근경색과 협심증의 차이는?
A. 협심증은 일시적인 혈류 감소, 심근경색은 혈관 정말 막힘으로 인한 심장근 괴사입니다.
Q. 재발률이 높은가요?
A. 생활습관을 바꾸지 않으면 재발 위험이 높습니다. 약 복용과 건강관리 병행이 중요합니다.
Q. 심근경색 후 운동은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A. 의사의 진단에 따라 보통 2~6주 후 가벼운 유산소 운동부터 시작합니다.
콜레스테롤 높은 고지혈증 환자가 꼭 봐야 할 건강검진 항목
피검사 결과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다고 들은 적 있으신가요? 겉으로 보기에 멀쩡해도 혈액 속 지방 수치가 높으면 심장병, 뇌졸중 위험이 커질 수 있어요. 이 글에서는 고지혈증이 무엇인지, 어
doit-blog1.tistory.com
고혈압 증상 기준과 꼭 확인해야 할 건강검진 항목
갑자기 어지럽거나, 두통이 있거나, 혈압이 높다고 들으면 걱정이 많아지죠. 그런데 '고혈압'은 증상이 없더라도 위험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고혈압이 무엇인지, 어떤
doit-blog1.tistory.com
맺음말
심근경색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지만, 준비된 사람은 위기를 넘길 수 있습니다. 불규칙한 식사, 흡연, 고혈압, 스트레스가 쌓이는 중년 이후에는 특히 조기 발견과 꾸준한 관리가 생명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오늘부터 심장을 아껴주세요.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행성 관절염 방치하면 큰일 - 확인해야 할 건강검진 항목 (0) | 2025.05.16 |
---|---|
갱년기 여성과 골다공증 환자가 봐야 할 건강검진 항목 (0) | 2025.05.16 |
갱년기여성 유방암 의심증상 자가진단 및 건강검진 항목 (0) | 2025.05.15 |
고혈압 증상 기준과 꼭 확인해야 할 건강검진 항목 (0) | 2025.05.15 |
당뇨병 환자가 꼭 챙겨봐야 할 건강검진 항목 (0) | 2025.05.15 |